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0

[돈의 역사] 지구온난화가 그린란드의 독립을 만들수 있을까? 역사에 기록된 시기 내내 그린란드는 얼음 말고 틀별히 설명할 것이 없다. 그린란드는 약 80% 이상이 얼음으로 덮여 있었던 곳이다. 또한 남은 땅 역시 경제적으로 아무런 쓸모가 없었기 떄문이다. 그린란드의 독립 현재 그린란드에는 약 5만6천명이 살고 있는데, 그린란드의 국내 총생산(GDP)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운정도이다. 그래서 매년 덴마크 정부가 그린란드 GDP의 1/4에 해당하는 돈(약 6억달러)을 그린란드 거주민들에게 재공해왔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그린란드에게 미치면서, 그린란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주거 환경이 극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린란드 기온이 가파르게 상승함에 따라 석유를 비롯한 각종 희귀광물을 채취하려는 기업들이 그린란드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 2021. 1. 3.
[돈의 역사] 지난 1000년 동안 유럽의 기후변화 유럽의 기후변화 지난 1천년 동안 세계 기후를 찾아보면 크게 2번의 파도를 발견할 수 있다. 첫 번째 파도는 중세 온난기의 시작으로 1000년부터 1300년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1300년 중반부터 급격히 하락하여 소멸된다. 두번째는 130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기온의 하각은 1700년대에 절정에 달하는데, 학자들은 이때를 소빙하기(little ice age) 라고 부른다. 중세 온난기에 비해 기온이 2도 가까이 내려갔으니 빙하기라는 표현이 과하지는 않아 보인다. 기후 학자들은 이때 기온 하강의 영향으로 전쟁과 혁명이 반발했다는 견해를 내 놓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1789년의 프랑스 혁명과 17세기 중반의 명나라 멸망을 꼽는다. 혹독했던 추위는 18세기 말을 고비로 진정되고, 19세기 부터 완.. 2021. 1. 3.
[돈의 역사] 전염병의 시대, 우리는 어떻게 될까? 전염병이 크게 확산될 때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살펴본 결과 약 세가지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전염병의 시대 첫째, 1인당 소득이 올라가는 경향이 뚜렷해진다. 사람이 부족해지고 토지가 풍부해지니, 상대적으로 살기 좋은 세상이 출현하는 셈이다. 물론 경제의 전체 규모는 줄어들 수 있지만, 한사람 한사람에게 돌아가는 몫은 오히려 늘어나는 면이 있다. 두번째 현상은 '내집단' 과 '외집단' 사이의 경계가 나뉘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이 죽어가는 가운데, 소수의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손쉬운 해결책이 되는 탓도 있을 것이고, 본능적인 자기 방어기제가작동하는 영향도 있을 것이다. 1921년 미국 이민법 제정이 보여주듯, 이민으로 만들어진 나라조차 문을 닫아 거는 모습이 출현한 것이 가장 극정인 예가 될 것 같.. 2021. 1. 3.
[돈의 역사] 유럽에서 신대륙으로 이민을 간 사람은 얼마나 될까? 1846~1932년 사이에 얼마나 많은 인구가 유럽의 주요국에서 대양 횡단 이주를 하였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방법은 없다. 신대륙으로 이민을 간 사람 학자들마다 편차가 크긴 하지만, [세계 인구의 역사]에 따르면,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1800만명, 이탈리아에서 1100만명,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650만명, 오스트리아 헝가리에서 520만명, 독일에서 490만명, 폴란드와 러시아에서 290만명,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210만명이 신대륙으로 이주했다고 한다. 이들의 주요 목적지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미국(3420만명,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710만명), 캐나다(520만명), 브라질(440만명) 순이었다. 참고로 호주와 뉴질랜드로 간 유럽사람도 350만명에 이른다. 그런데 미국의 이민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두 번.. 2021.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