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0 [돈의 역사] ESG 열풍의 이유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400ppm에 도달해 지난 2,300만 년 중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전 세계를 위기감을 불러일으키기 충분하다. 이런 영향으로, 최근 금융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 ESG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ESG 투자란? 환경이나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 투자한다는 원칙의 첫 글자를 딴 것이다. Environment 환경 Social 사회 Governance 지배 구조 쉽게 말해서, 환경에 위해를 끼치거나 사회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하는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 소극적 전략부터 친환경 및 친 사회적 기업에 투자와 지원을 강화하는 전략까지 포함한다. 물론 이 전력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는 투자자도 적지 않다. 일례로 2017년 말에는 ES.. 2021. 1. 4. [돈의 역사] 중국의 1인당 소득은언제 영국에게 추월당했을까? 중국 역사상 12세기 송나라 때가 가장 부유한 시기였다. 물론 1978년 개방 정책 시행 이후 중국이 부유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대 다른 나라 들과 비교하면 송나라 시절만큼 중국이 부유했던 적은 없었다. 중국의 1인당 소득 스티븐 브로드베리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인구와 경작 면적 그리고 공업 이외 산업 발달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했다. 연구에 따르면 , 북송과 명나라 초기에 1인당 소득이 가장 높았으며 청나라 때에는 지속적인 감소 흐름이 나타났다. 물론 청나라 때 경제의 절대적인 외형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다만 감자와 고구마 드의 작물이 신세계에서 유입되며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결과, 1인당 소득이 줄어들었다. 영국추월 한마디로, 중국의 1인당 소득이 영국에게 확실하게 추월당한 시기는.. 2021. 1. 4. [돈의 역사] 황허강이 마르면 북방에 전쟁이 시작된다. 12세기 이후, 현재 중국 영토(자세히는 만주족의 청사라가 지배했던 땅)의 상당 부분이 유목민에게 점령되었다. 이렇듯 한족이 악세를 보이게 된 이유를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는데, 잉 바이와 제임스 카싱 쿵의 기념비적인 연구 덕분에 논쟁이 상당 부분 진전되었다. 황허강 이들은 황허강에 가뭄이 든 시기에 대대적으로 북방 유목민의 침입이 있었고, 반대로 황허강에 홍수가 드는 등 비가 자주 내릴 때에는 유목민의 침입이 줄어들거나 북방 민족이 점유하는 영토가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12세기 이후 지속적으로 황허강에 가뭄이 드는 빈도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소빙하기에 접어 들며 기후 여건이 약화된 것, 그리고 인구 증가에 따른 황허강 상류 지역의 환경 파괴 등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2021. 1. 4. [돈의 역사] 기근이 시작되면 마녀 사냥이 시작된다 중세 온난기가 끝난 14세기부터 근대 초까지, 유럽에서는 약 1백만 명에 이르는 사람이 마녀로 몰려 사형당했는데, 이러한 일은 16~18세기에 집중되었다. 마녀 사냥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피해자는 대부분 여성으로 주로 가난한 과부였다. 마녀 사냥 반면 마녀에 대한 사형 집행은 종교 법정과 민간 법정을 가리지 않았고, 가톨릭과 개신교 둘다 행해졌다. 대체 왜 유럽 사람들은 이런 만행을 저질렀을까? 최근 미국의 역사학자, 에밀리 오스터는 이에 대한 흥미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그녀는 마녀 사냥과 학살이 자행된 배후에 경제적 요인이 작용했다고 주장한다. 날씨가 추워지고 농작물 수확량이 줄어드는 시기에 상대적으로 가난하고 자신을 보호해줄 사람이 없는 힘 없는 여성을 마녀로 몰아 제거했다는 것이다. 참고로 마.. 2021. 1. 4.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