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0

[돈의 역사] 정책금리 인상에도 대출금리가 오르지 않는 이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유발한 주범은 미국 감독당국이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중국도 미국 등 선진국 부동산 시장의 버블을 유발하는 데 큰 열확을 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중국 중앙은행이 MBS 등 미국채권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들였기 때문이다. 즉, 연준이 정책금리를 올려도 중국이 적극적으로 채권을 사들이는 바람에 대출 금리 상승이 억제됐던 것이다. 당시 중국이 미국 채권을 사들였던 이유는 외환보유고의 급증에 있다.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2001년 말 2천억 달러에서 2003년 초에는 3천억 달러, 2004년 8월에는 5천억 달러, 그리고 2006년 10월에는 1조 달러에 이르렀다. 외환보유고는 기본적으로 만일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돈이기에, 일반적으로 대부분을 달러, 그것도 거래가 잘되는 .. 2021. 1. 7.
[돈의 역사] 은행이 돈을 버는 원리, 불황(코로나)에도 돈을 버는 이유 은행이 어떤식으로 돈을 버는지 알아두면, 경제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기본적으로 경제는 돈이 돌아야 좋아지는데 은행이 경제의 혈액순환에 가장 결정적인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3년 카드 위기 때처럼 은행이 식물 인간 상태가 되면 경제성장률은 크게 떨어진다. 기업이나 가계 모두 돈을 빌리지 못해 쩔쩔매는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이 제대로 이뤄질 리없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까? 정답은 간단하다. 예대 마진에서 충강금과 판관비를 뺀 것이 바로 은행의 이익이다. 충당금이란, 은행들이 돈을 빌려줬다. 떼이는 경우 발생할 비용을 미리 쌓아두는 일종의 보험이다. 핀관비는 판매관리비로, 은행이 고용한 직원에 대한 월급과 빌린 점포에 대한 입대료 등이 포함되는데 판관비는 크게 변.. 2021. 1. 7.
[돈의 역사] 북한 경제가 망가진 근본적 원인 북학이 침체의 늪에서 빠진 가장 큰 이유는 2009년 화폐 개혁 실패 때문이지만, 사실은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절부터 이미 저성장의 싹이 자라고 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된다. 북한에서는 가장 중요한 사회간접자본은 철도다. 1945년 해방 당시, 북한은 3,797KM의 철도망을 가지고 있었다. 남한의 철도망은 3,614KM였으니 두 나라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2015년이후 남한의 철도 총연장 길이는 9,001KM로 늘어난 데 비해, 북한은 고작 5,304KM에 불과했다. 남한은 수십 개의 고속도로가 거미줄처럼 깔려 있는 반면, 북한의 고속도로는 평양-개성 구간뿐이며 철도망의 확층(확장)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파일은 아래에 첨부되어있습니다. 출처는 KDI p. 29 특히 기간을 세분화 해보면,.. 2021. 1. 6.
[돈의 역사] 1962년 화폐 개혁 이후에도 한국 물가가 급등한 이유는? 한국 경제는 해방 이후 오랫동안 물가 불안(인플레이션)에 시달렸다. 1950년대에는 전쟁 비용을 충당하고 전쟁으로 파괴된 생산 시설 등을 복구 하기 위해 화폐를 마구 찍어낸 것이 인플레의 원인이었다. 반면 1960년대 이후에는 수입 물가 상승이 인플레의 원인이 됐다. 박정희 정부가 수출 주도의 경제 성장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상승했는데, 환율이 상승하면 해외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다시 수입상의 매점매석을 부추겨 투기가 불붙게 된다. 나아가 적극적인 경제 개발 정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자율을 낮게 책정한 것도 물가 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업들이 사업을 추진하는 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이자율을 낮게 책정했는데, 가계 입장에서는 화폐 개혁의 충격에 낮은.. 2021.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