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는 해방 이후 오랫동안 물가 불안(인플레이션)에 시달렸다. 1950년대에는 전쟁 비용을 충당하고 전쟁으로 파괴된 생산 시설 등을 복구 하기 위해 화폐를 마구 찍어낸 것이 인플레의 원인이었다.
반면 1960년대 이후에는 수입 물가 상승이 인플레의 원인이 됐다. 박정희 정부가 수출 주도의 경제 성장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상승했는데, 환율이 상승하면 해외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다시 수입상의 매점매석을 부추겨 투기가 불붙게 된다. 나아가 적극적인 경제 개발 정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자율을 낮게 책정한 것도 물가 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업들이 사업을 추진하는 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이자율을 낮게 책정했는데, 가계 입장에서는 화폐 개혁의 충격에 낮은 이자율에 대한 실망까지 더해진 꼴이가 예금을 기피하고 주택 구입 등 실물투자로 돌아서는 계기가 됐다. 결국 수입 물가 상승에 토지·주택 가격의 급등이 가세하며 1960년대 내내 인플레 수준이 매우 높았다.
화폐 개혁 같은 특단의 조치만으로는 인플레를 잡을 수 없다. 인플레를 잡기 위해서는 환율을 안정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적기에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공급하거나 경제 전체의 수요를 진정시키는 등의 안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당시 상황에서 이러한 점을 기대하기는 힘들었다.
'필사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역사] 은행이 돈을 버는 원리, 불황(코로나)에도 돈을 버는 이유 (0) | 2021.01.07 |
---|---|
[돈의 역사] 북한 경제가 망가진 근본적 원인 (0) | 2021.01.06 |
[돈의 역사] 유럽 나라들은 은화의 순도를 얼마나 떨어뜨렸을까? (0) | 2021.01.06 |
[돈의 역사] 뱅크런(bank run)을 막기위한 장치, 지금준비금과 예금자 보험 (0) | 2021.01.05 |
[돈의 역사] 서양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을까? (0) | 2021.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