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를 할 수 있다?
주택에서 임대인은 임대차기간 만료 전 6월부터 1월까지 임차인에 대하여 계약갱신 거절의 통지를 해야 하고, 임차인은 임대차기간 종료 건 1월까지 임대인에게 계약 종료에 따른 계약해지와 임차보증금을 반환하여 달라고 통지(우편 내용 증명해야 한다.
상가건물에서는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임 대차 기간 만료 전 6월부터 1월까지 계약갱신 거절의 통지를 해야만 계약이 해지된다.
주택에서 임대차기간이 2015년 10월 31일부터 2017년 10월 30일까지라면, 임대 인은 계약기간 만료일 6개월 이전(4월 30일)부터 만료일 1개월 이전(9월 30일)까지 의 기간 동안 계약을 해지할 수 있고, 임차인은 만료일 6월 이전에는 제한이 없고 단지 만료 1개월 전(9월 30일)까지만 계약을 해지하면 된다. 이 기간을 지나거나 계약기간이 만료되고 나서 계약을 해지하면 묵시적 갱신이 된다.
그러나 상가건물에서는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 계약기간 만료일 6개월 이전(4월 30일) 부터 만료일 1개월 이전(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계약을 해지할 수 있고, 이 기간을 지나거나 계약기간이 만료되고 나서 계약을 해지하면 묵시적 갱신이 된다.
건물주 임차인에게 권리금 반환 관련
건물주가 임차인에게 직접 권리금을 받을 수 없을까? 권리금이란 기본적으로 기존의 임차인이 새로운 임차인으로부터 받는 것 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건물주도 바닥 권리금이라
hot-review.tistory.com
원인불명 화재시 임차인 손해배상 책임
임차인에게 손해배상책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임차건물이 원인불명의 화재 등으로 소실되어 임차물 반환채무가 이행 불능이된 경우, 임차인이 그 이행불능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면하
hot-review.tistory.com
'부동산, 경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산보증금 초과 임대차 및 임대차 보호 기간, 환산보증금 9억원 초과시 선순위 저당권 관련 정보 (0) | 2021.12.27 |
---|---|
임차인 임대차만료일 직전 계약 해지 (0) | 2021.12.27 |
임대인 개인회생 파산신청시 보증금 문제 (0) | 2021.12.27 |
임차건물 경매 계약서 분실시 배당요구 불가? (0) | 2021.12.27 |
부동산 재계약 10년 보장 / 임대료 증감 없이 묵시적으로 임대차계약이 갱신 (0) | 2021.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