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절세52 경매 NPL 배당기일 배당표 확정 및 이의제기 방법 배당표는 언제 확정되나? "경매사건 00번 이해관계인 출석하셨습니까?" 네 "배당표에 이의 없습니까?" "네" 보통 오후에 열리는 경매법정에는 각 사건별 이해관계인이 몰려들어 소란스럽다. 수십 건의 배당사건이 아주 빠르게 진행되므로, 초보투자자는 정신을 차리기 힘들다. 투자자의 입에서 "네"라는 말이 떨어지는 순간이 바로 배당표가 확정되는 순간이다. 부실채권투자에서 배당표는 배당기일에 확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배당표가 확정된다는 것은 투자자가 받을 돈이 확정된다는 의미이다. 만일 배당표에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배당기일에 출석해 이의를 제기해야한다. 배당표 확정 배당기일통지를 받고도 출석하지 않으면, 이의가 없다는 얘기로 받아들여 진다. 그 채권자에 대한 배당표는 그대로 확정된다. 경매법정은 .. 2022. 2. 14. 2021년 이후 부동산 종류와 거래 단계별로 본 주요 세금 제도 부동산 종류와 거래 단계별로 본 주요 세금 제도를 나 타낸 것이다. 어떤 제도들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는지 전체적으로 점검. 1. 부동산 종류와 거래 단계별로 본 주요 세금 제도 종류 취득 보유 임대 양도 주택 취득세 강화 - 종부세 6억 원 초과분 - 임대소득세 과세 1주택자 : 거주 요건 도입(2017, 8, 3) • 2주택자 : 중과세(2018. 4.1) • 3주택자 : 중과세(2018. 4.1) 재건축, 재개발, 입주권 전매 제한 - 입주권을 주택으로 간주 상가 - 종부세(80억 원 초과분) - 오피스텔 - 주거용 오피스텔은 종부세 과세, 환급받은 부가세 추징 주거용 오피스텔은 주택으로 보아 과세 토지 5년간 전매 제한 나대지 : 종부세(5억 원 초과분) 나대지 외지인 땅 : 중과세 공통 실거.. 2022. 2. 8. 2021년 1월 이후 부동산 관련 세율 총 정리 (양도세율, 기본세율 구조, 중과세 정책, 누진세율, 비례세율) 부동산 관련 세율은 취득 단계부터 시작하여 보유 및 임대 그리고 양도·상속·증여 단계로 구분해서 이해하면 그렇게 어렵지 않다. 1. 부동산 관련 세율 구분 세율 취득 단계 취득세 과세표준의 4%, 주택은 1~12% ※ 이 외 취득세에는 농특세 지방교육세가 부가적으로 과세됨, 보유 단계 재산세 - 과세표준의 0.1~0.4%(4단계 누진세율) 종부세 - 과세표준의 0.6~30%(3주택 등 1,2-6.0%) ※ 임대 시 부가세 10%와 종합소득세 6~42%가 과세됨. 양도 단계 일반과세 : 1년 미만 보유 50%(비례세율), 1~2년 미만 보유 40%(비례세율) 2년 이상 보유 6 ~ 42% (7단계 누진세율) 등 중과세 : 기본세율+10~20%p ※ 이 외 상가빌딩 등에 대해서는 부가세 10%가 과세됨 상속.. 2022. 2. 8. 세금 부과 요건과 기준시가와 시가 구분방법, 과세표준 (취득세, 재산세, 종부세, 양도세, 상속세, 증여세) 세금의 부과 요건 세금을 이해할 때 세금을 부과하는 요건 "납세의무자 과세물건, 과세표준과 세율"을 먼저 말 필요가 있다. '납세의무자'는 세금을 납부 할 의무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대부분은 세금을 실제 납부한 사람이 납세의무자가 되지만 거래 금액에 10%로 붙는 부가세는 사업자가 소비자를 대신해 납부한다. '과세물건'이란 세법에 의해 과세 대상으로 정해져 있는 물건 · 행위 또는 사실을 말한다. 이 과세물건은 양도세의 경우 '소득', 보유세의 경우 '재산을 보유한 사실'에 대해 과세한다. 한편 '과세표준(줄여서 과표)'은 세금 산출의 기초가 되는 금액을 말한다. 실무적으로 보면 세율은 이미 결정되어 있으나, 과세표준'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양도세의 경우 기준시가로 신고할 것인가 실거 래가로 신.. 2022. 2. 8. 이전 1 2 3 4 5 ··· 13 다음